1) 역대상의 구성

+-------------+------------+--------------+--------------+------------------------+

| 1 - 3 장 | 4 - 6 장 | 7 - 9 장 | 10 - 20 장 | 21 - 29 장 |

+-------------+------------+--------------+--------------+------------------------+

|아담에서 다윗| 5지파 족보 | 6지파 족보 | 장년 시대 | 노년 시대 |

+-------------+------------+--------------+--------------+------------------------+

| 다윗의 | 레위의 | 베냐민의 | 왕의 즉위, | 성전건축 준비, |

| 후손 | 후손 | 후손 | 내정과 승전 | 마지막 일들 |

+-------------+------------+--------------+--------------+------------------------+

| 족 보 (다윗의 혈통) | 역 사 (다윗의 통치) |

+-----------------------------------------+---------------------------------------+

2) 중요 메세지

① 정치사적인 열왕기와는 달리 종교사적인 측면에서 역사를 취급하였다.

②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그분의 나라에서 마땅히 갖는 그분의 지위에 대한 것을 보여

준다.

③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은 보좌에서 반드시 영광을 얻으시는 분이심을 보여준다.

3) 세부 내용

1장부터 9장까지 이어지는 인물들의 나열 속에서 인간과 함께 하시고 인간을 통해 역사

하시는 하나님의 섭리를 깨닫게 한다. 아담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윗에 이르는 족보의 계열

은 후에 예수그리스도의 탄생과 연결된다(마1:1-16).

북방에 정착한 잇사갈, 베냐민, 납달리, 므낫세, 에브라임, 아셀의 족보에 이어(7장)

베냐민 지파와 사울의 족보가 나오고(8장),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백성들과 문지기

그리고 레위인의 직무와 사울의 족보를 기록하고 있다(9장).

사울이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전사하자(10장) 다윗이 헤브론에서 왕이 되고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사울을 피해 시글락에 있을 때 도와준 자들과 헤브론에서 다윗을 왕으로 세운

군대와 용사들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12장).

다윗은 온 회중과 의논한 후 기럇여아림에 있는 언약궤(법궤)를 옮기나 기돈의 타작마

당(삼하6:6에는 나곤)에서 웃사가 궤를 만지므로 죽게 되어 언약궤는 예루살렘으로 옮겨

지지 못하고 오벧에돔의 집에 머문다(14:8).

두로왕 히람은 다윗의 궁궐 건축에 호의를 표하고 다윗은 블레셋과의 싸움에서 승리한다

(15장). 이후 다윗은 왕궁 건축을 마치고 궤를 안치할 처소를 예비한 후 언약궤를 예루

살렘으로 올리고 춤추며 기쁨으로 영접한다. 그리고 화목제를 드리고 백성을 축복하며

감사의 노래를 부른다(16장). 17장은 성전건축을 소원하는 다윗과 이를 허락하지 않는

하나님이 다윗과 그 나라를 견고케 하실것을 약속한 내용과 그에 대하여 다윗이 감사의

예배를 드리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다윗은 블레셋, 모압, 소바, 다메섹의 아람등과 싸워 연승하면서 계속 영토를 확장 시키고

행정도 점차 조직화 시킨다(18장). 다윗은 모압왕 나하스의 죽음에 조객을 보냈으나 나

하스의 아들인 하눈이 오해하며 싸우려 하자 다윗은 요압을 보내 모압을 무찌르고 이어

원조를 한 아람도 쳐서 무찌른 후(19장) 계속해서 블레셋과 암몬과의 싸움에서도 승리한

다(20장).

계속된 승리에 도취한 다윗은 요압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사탄의 유혹에 빠져 인구조사를

실시하여 온역으로 7만명이나 죽는 심판을 받는다.

그러나 회개 후 다윗은 오르난의 타작 마당에서 제단을 쌓는다(21장).

그리고 22장에서는 건축한 성전을 위해 많은 재료들을 준비하고 솔로몬에게 성전 건축을

부탁한다.

다윗이 나이 많아 늙자 솔로몬을 왕으로 세운 후 방백들과 레위인을 모으고 그들을 계수

하여 반열에 따라 직무를 담당하게 한다(23장).

24장은 찬양대의 직무와 찬양 대장인 아삽, 헤만, 여두둔에 대하여, 25장은 제사장의 직

무와 레위 자손들에 대하여, 26장은 성전 문지기와 창고지기 그리고 유사와 재판장들의

직무를, 27장은 다윗 왕국의 군대 조직과 행정 조직을 기록하고 있다.

다윗은 말년에 솔로몬을 왕의 계승자로 공포하고 그에게 성전 건축을 당부하고 강하고

담대하게 행하라고 격려한다(28장). 그리고 후속 조치로 회중들이 자발적으로 헌금에

참여케 하고 마지막 감사를 하나님께 드리고 솔로몬을 왕으로 세운다. 그리고 마침내

40년의 통치를 끝으로 다윗이 죽고 솔로몬이 통일 왕국의 3번째 왕으로 등극한다(29장).

4) 핵심 성구

"너희는 그 언약 곧 천대에 명하신 말씀을 영원히 기억할지어다(대상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