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1) 출애굽기의 구성

+--------+------+------+--------+--------+--------+-------+--------+-------+

| 1-2 장 | 3-6장|7-10장| 11-12장| 13-18장| 19-24장|25-31장|32-34장 |35-40장|

+--------+------+------+--------+--------+--------+-------+--------+-------+

|이스라엘|모세의|애굽에| 출애굽 |홍해에서|시내산 | 성막 | 범죄 |여호와 |

|의 고통 |소명 |내린 |(유월절)| 시내산 | 언약 | 모형 |(금송아 | 의 |

|과 멍에 | |재앙 | | 까지 |(십계명)|(계시) |지 숭배)| 영광 |

+--------+------+------+--------+--------+--------+-------+--------+-------+

| 구속의 준비 | 구속의 시작 | 구속 후의 교훈(언약) |

+---------------+------------------------+---------------------------------+

| 애굽에서 | 광야에서 | 시내산에서 |

+---------------+------------------------+---------------------------------+

|애굽거주 400년 | 2개월 여정 | 10개월 체류 |

+---------------+------------------------+---------------------------------+

| 노예생활 | 구 출 | 계 시 |

+---------------+------------------------+---------------------------------+

| 구 원 | 경 배 |

+----------------------------------------+---------------------------------+

2) 중요 메세지

① 출애굽기는 이스라엘의 출애굽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인 신자들이 죄로부터

벗어나고 사망으로 부터 해방 되어야 함을 증거하고 있다.

② 고통 당하는 자기 백성을 불쌍히 여겨 하나님께서 사랑으로 인도해 주심을 보여

준다.

③ 하나님을 믿고 그의 인도함을 받는 사람이 겪는 어려움에도 하나님의 깊은

뜻이 있음을 보여준다.

3) 세부 내용

이스라엘(야곱)이 애굽에 내려간지 400여년이 흘렀다. 이스라엘 가족은 하나의 큰 민족을 이루었으나 큰 민족을 이룬 이스라엘에 두려움을 느낀 바로는 이스라엘 민족을 탄압하기 시작하였고 이스라엘 민족은 노예 생활로 전락한다. 그러나 바로의 탄압은 더욱 심해져 출산하는 남자를 죽이는 혹독한 정책이 실시 된다(1장).

그러나 모세 나이 40세 때 애굽인을 살해한 모세는 바로의 손길을 피해 미디안 광야로 도망하여 그곳에 있는 제사장의 딸과 결혼하여 40년을 목동생활로 지낸다(2장).

이제 모세 나이 80세, 모세는 하나님으로 부터 이스라엘 민족을 애굽에서 이끌어 내라는 소명을 받고(3,4장) 다시 애굽으로 돌아와 바로에게 자기 백성을 보내줄 것을 말하나 거절 당한다(5장). 이에 하나님은 다시 한 번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나오게 할 것을 모세에게 말씀 하신다(6장).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내보내지 못하겠다는 바로의 거절에 모세는 지팡이가 뱀이 되게 하는 이적을 베푸나 술객들도 이같은 이적을 보이자 바로의 마음은 강팍해진다.

이에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물이 피가 되게 하는 재앙을 시작으로 개구리 재앙(7장), 이 재앙, 파리 재앙(8장), 가축 재앙, 독종 재앙, 우박 재앙, 메뚜기 재앙, 암흑 재앙을 내리게 하나 재앙이 그칠 때마다 바로의 마음은 더욱 강팍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보내지 않는다.

하나님은 마지막으로 모든 장자와 처음난 가축을 죽게하는 재앙을 예고하고(11장) 출애굽한 후에 지켜야 할 절기와 유월절 규례에 대해 말씀하신다. 마침내 장자를 죽이는 죽음의 재앙은 애굽의 온 땅에 임했고, 결국 이스라엘 백성은 애굽 이주 400여년 만에 애굽을 탈출하게 된다(12장).

하나님의 능력으로 애굽에서 나온 이스라엘 자손은 라암셋을 출발하여 불과 구름기둥의 인도를 받으며 광야 끝에 위치한 에담에 장막을 친다(13장). 그러나 변심한 바로의 추격을 받고 진퇴양난에 처하나 하나님은 홍해를 갈라 이스라엘로 하여금 육지같이 건너게 하고 바로의 군대는 수장 시킨다.

홍해를 기적으로 건넌 이스라엘 백성은 해변길 대신 수르 광야길로 진행하여 마라에 이르렀으나 물이 써 먹지 못하자 불평하기 시작 했고, 하나님은 단물로 만들어 마시게 한다. 이스라엘은 계속 진행하여 오아시스가 있는 엘림에 장막을 친다(14,15장).

엘림을 출발하여 두달 반만에 신 광야에 이른 이스라엘은 고기를 먹지못해 원망을 하자 이에 하나님은 만나와 메추라기를 내려 양식을 삼게 했다(16장).

만나를 먹으며 르비딤(므리바)에 이른 이스라엘은 그곳에서 아말렉과 출애굽 후 처음으로 싸움을 하게 되지만, 모세의 기도와 여호수아의 진두 지휘로 승리를 거두고 그곳에 단을 쌓고 여호와 닛시라 명명했다(17,18장).

출애굽한지 한달 반 만인 제 3월에 시내 광야에 도착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강림을 준비 하였고, 모세는 시내산에 올라가 십계명이 기록된 두 돌판을 받는다(19-22장).

그리고 23장에서 사회 법규에 대한 고대 사회의 율례가 기록되고 있으며 24장은 19장에서 시작한 언약이 법제화하여(24:12) 백성의 서약으로 완결되며 여기에 두가지 예배가 거행 된다.

모세가 시내산에서 하나님으로 부터 받은 성막제조와 그 외의 여러가지 계시는 25장에서 시작하여 31장에서 마쳤다.

한편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가 산에서 오랫동안 내려오지 않자 금송아지를 만들어 하나님을 배신하는 행위를 저질렀고, 산에서 내려온 모세는 십계명이 새겨진 돌판을 던져 금송아지 우상을 부수고 시내산을 떠난다(31-33장). 이후 모세는 하나님이 쓰신 십계명의 돌판을 다시 받으며 가나안 땅에 들어간 후 그곳에서 해야 할 일과 제의에 관한 명령을 받는다. 그리고 산에서 내려와 하나님의 명령을 전달하고 성막 건축을 준비한다(34-35장).

33장에는 금송아지 사건을 직접 문제로 취급하지 않고 32:34절과 34:1절과의 연락으로 보아 33장은 32장에서 시작하여 34장에서 끝나는 이야기의 중간에 삽입된 내용으로 본래에는 독립되어 있던 내용인듯 하다.

35장에서 39장까지는 제의에 대한 하나님의 명령을 시행한 내용으로 이에 대한 명령은 이미 25-30장에서 언급 되었다.

마지막장인 40장은 성막 조립에 관한 기사로 40:16-33절은 모세에게 하나님이 지시한 후에 기록 하였다. 하나님의 명령의 대부분은 25:1-31:17절에서 채용하고 있으나 속죄소에 관한 것은 생략되어 있다.

<핵심 성구>

이제 내가 너를 바로에게 보내어 너를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게 하리라(출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