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

사울과 요나단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된 본서는 영광과 수치가 엇갈린 다윗왕가의 일대기로 엮어져 있다. 여부스족이 가나안땅 최후의 보루로서 자랑하던 예루살렘을 점령하여 이스라엘의 정치적 중심지로 삼은(5:6-12)것과 탈취한 예루살렘을 종교적 본산으로 정하고 시온이라 칭하여 민족의 단합을 유도한것은 다윗의 통치중 위대한 업적이다. 그러나 밧세바와의 일과 그의 남편 우리야 모살(謀殺)사건, 그리고 하나님의 군대를 수(數)적으로 의지한 인구조사는 그의 업적에 큰 타격적인 사건이었다. 하지만 다윗은 곧바로 회개하고 바른 신앙으로 다시 회복한 그의 승리의 생애는 모든 성도들에게 큰 귀감이 된다.

1.내용구분

초점

다윗의 승리

다윗의 고민

구분

분단된 국가

1 4

통일된 국가

5 7

사울의 몰락

8 10

간음과 살인

11 14

압살롬의 반란

15 18

불안과 폭동

19 20

다윗의 고별사

21 24

표제

내 란

범죄와 갈등

복종과 축복

불순종과 심판

2.세부적인 연구

(1)다윗의 즉위

①사울과 요나단의 죽음에대한 다윗의 애가(1:1-27) ②헤브론에서의 유다 왕이된 다윗(2:1-7)

③민족통일을위한 노력(2:8-4:12) ④통일민족의 왕이된 다윗(5:1-6)

(2)다윗의 왕권확립

①예루살렘에 세워진 정부(5:7-6:23) ②예루살렘에 모셔진 법궤(6:1-23)

(3)성전건축을 위한 다윗의 간구

①다윗의 요청(7:1-3) ②하나님의 응답(7:4-29)

(4)다윗의 정벌사업

①블레셋,모압,소바,수리아,에돔을 물리침(8:1-18) ②므비보셋에게 자비를 베품(9:1-13)

③암몬을 물리침(10:1-19)

(5)다윗의 범죄

①밧세바와 간통(11:1-13) ②밧세바의 남편 우리야를 모살(11:14-27)

(6)다윗왕국의 갈등

①나단 선지자의 경고와 다윗의 회개(12:1-31) ②암논의 근친상간(13:1-39)

③압살론의 반란(14:1-18:33) ④나라의 혼란(19:1-39) ⑤왕국의 혁신(19:40-20:26)

(7)다윗의 만년

①흉년과 다윗자손에대한 기브온사람의 보복(21:1-14)②블레셋과의 재전쟁(21:15-22)

③다윗의 찬양시(22:1-51) ④다윗의 유언(23:1-7)

3.본서가 주는 교훈

(1)인간의 구원과 자유는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 아래에서 이루어지는 것 임을 다윗의 생애를통해 보여 주었고, 다윗의 죄에대한 하나님의 용서는 전 민족에대한 하나님의 용서에 대한 희망을 심어준다.

(3)인간으로서 실수도 많았고 죄로 인하여 괴로움도 많았으나 다윗처럼 하나님을 의지하여 회개하고 돌아오면 하나님의 사랑을 깊이 체험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