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 서론
저자.
사도 요한.
수신자.
소아시아의 7교회(1:11).
동기와 목적.
당시 황제예배의 박해 아래 있던 성도들을 위로, 격려하기 위해 현세의 종국과 심판, 그리고 신천신지의 영광스런 소망을 보인다.
장소와 연대.
밧모섬(1:9) 또는 에베소에서, 95-96년경.
특징.
(1) 신약성경의 유일한 예언서.
(2) 구약적 배경: 구약의 계시문학은 포로기 전후, 즉 예언문학의 후반기에 시작하여 포로기에 대성했다. 본서는 다니엘,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서 등을 배경으로 하고 특히 첫째와 밀접히 관련됨.
(3) 문학체제: 구약의 계시문학을 그리스도 중심으로 통일 체계화 함.
(4) 신학사상: 삼위의 신관을 앞세우고, 구약의 메시야관을 종말적이며 우주적으로 완성하고, 그 대역인 마귀를 지탄하여 종말론을 완성함.
(5) 상징주의: 계시문학의 특색으로 본서는 상징과 수자로 엮어진다. 즉 1,2,3,4,7,10,12 및 그 승수 등의 수자, 여러 색들, 동물들의 이름과 물건들이 동원된다.
해석법.
본서의 내용을 문학적, 비교종교학적 또는 양식사적으로 분류해석하는 문자적 해석법(The Literary0Cnitical Method), 심리적 현상으로 보는 심리적 해석법(The Psychological Method), 영적 교훈만을 찾으려는 영적 해석법(The Spiritual or Idealist Method), 저작 당시의 사실을 가리킨다는 과거적 해석법(The Preterit Method), 역사적 사건들에 적용하려는 역사적 해석법(The Historical Method) 등이 있으나 종말에 관한 예언으로 보는 미래적 해석법(The Futuristic Method)을 취한다.
내용분해
1. 서론(1-3장)
1) 계시의 시작(네 본 것, 1장)
(1) 서문(1:1-3)
(2) 문안(1:4-8)
(3) 계시자의 나타나심(1:9-20)
2) 교회에 보내는 편지(이제 있는 일, 2-3장)
(1) 에베소 교회에(2:1-7)
(2) 서머나 교회에(2:8-11)
(3) 버가모 교회에(2:12-17)
(4) 두아디라 교회에(2:18-29)
(5) 사데 교회에(3:1-6)
(6) 빌라델비아 교회에(3:7-13)
(7) 라오디게아 교회에(3:14-22)
2. 대환난과 구원(장차 될 일, 4-18장)
1) 심판의 보좌와 심판자(4-5장)
(1) 심판의 보좌(4장)
(2) 심판자(5장)
2) 일곱인의 환난(제 1환난, 6-7장)
(1) 여섯인 - 지상의 환난(6장)
(2) 첫째 삽경 - 천상의 구원(7장)
3) 일곱나팔의 환난(제 2환난, 8-14장)
(1) 여섯나팔 - 지상의 환난(8-9장)
(2) 둘째 삽경 - 강한 천사(10장)
(3) 세째 삽경 - 두 증인(11:1-13)
(4) 제일곱 나팔(11:14-19)
(5) 네째 삽경 - 여자와 용(12장)
(6) 다섯째 삽경 - 두짐승(13장)
(7) 여섯째 삽경 - 대심판의 예견(14장)
4) 일곱대접의 환난(제 3환난, 15-18장)
(1) 서곡 - 일곱대접의 준비(15장)
(2) 일곱대접의 환난(16장)
(3) 일곱째 삽경 - 바벨론의 멸망(17-18장)
(가)두음녀(17장)
(나)바벨론의 멸망(18장)
3. 최후의 대심판과 천년왕국(19-20장)
1) 그리스도의 재림과 짐승의 멸망(19장)
2) 천년 왕국과 사단의 심판(20:1-10)
3) 전 인류의 심판(20:11-15)
4. 신천신지(21:1-22:5)
1) 신천신지(21:1-8)
2) 새예루살렘(21:9-22:5)
5. 결론(22: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