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절 "지휘자" 와 "교회음악 지도자"
제 2절 음악목회에 대한 이해
제 3절 음악목회의 성서적 근거
제 4절 성서에 나타난 음악목회자의 10가지 자질 및 특성
제 5절 음악목회자에 대한 정신적 위치
제 6절 하나님이 부른 사람과 인간이 택한 사람
제 7절 음악목회자와 지휘자
제 8절 전임 음악목회 제도의 필요성
제 9절 음악목회 제도는 교회의 전통
제 10절 미국 교회의 음악목회 현실
제 11절 한국에서의 음악목회 제도의 전망
제 2 장 예배 와 음악 목회
제 1절 예배에서 음악은 왜 필요한가?
1. 찬양은 하나님의 명령
2. 음악은 기독교의 전통
3. 음악은 찬미의 제사
4. 음악의 본질적인 가치
제 2 절 초대 기독교 예배의식과 예배음악의 발달 과정
1. 초대교회의 상황
2. 유대교회의 예배와 예배음악
3. 초대교회 예배의 형성과 시편창의 발달
4. 예배의식의 통일과 완성
제 3 절 예배의 내용
1. 오르간 전주 (Organ Prelude)
2. 입례송 (Choral Introit)
3. 개회 찬송 또는 입장 찬송 (Processional Hymn)
4. 예배에의 부름 (Call to Worship)
5. 기원 (Invocation)
6. 죄의 고백, 공동기도(General confession, Common prayer)
7. 대영광송 (Gloria)
8. 교독문(Responsorial Reading)
9. 목회기도(Pastoral Prayer),중보의 기도(Prayer of Intercession)
10. 하나님의 말씀 (Scriptural Lesson)
11. 찬양 (Anthem)
12. 성령의 사역을 바라는 기도 (The Prayer of Illumination)
13. 설교 (Preaching)
14. 설교자의 설교후 기도
15. 신앙고백
16. 감사와 응답의 찬송 (Hymn of Response)
17. 헌금 (Offering)
18. 성만찬 (Holy Communion)
19. 퇴장 찬송 (Recessional Hymn)
20. 축도 (Benediction)
21. 축도송
22. 결론
제 4 절 예배에서 차지 하는 음악의 위치
1. 음악은 영감적인 것
2. 교회음악에 대한 Calvin의 사상
3. 찬양은 교회력에 따라서
4. 모범적인 예배는 음악예배
제 3 장 교회력과 음악목회
제 1 절 교회력의 시작
제 2 절 주 일
제 3 절 수요일과 금요일
제 4 절 부활절의 유래와 풍습
제 5 절 부활절의 날짜 결정문제
제 6 절 사순절 준비 기간 (Pre-Lent)
제 7 절 사순절 (Lent)
제 8 절 고난 주간 (Passion Week or Holy Week)
⑴ 종려주일 (Palm Sunday)
⑵ 세족 목요일 (Maundy Thursday)
⑶ 성 금요일 (Good Friday)
⑷ 성 토요일 (Holy Saturday)
제 9 절 부활절 (Easter)
⑴ 의식 예배극 (Liturgical Drama)
⑵ 부활절 새벽예배
제 10 절 승천일 (Ascension)
제 11 절 성령강림 주일 (Whitsunday)
제 12 절 성 삼위일체 주일 (Trinity Sunday or Trinity Season)
제 13 절 종교개혁 주일
제 14 절 모든 성자들을 위한 축일 (All Saints' Day)
제 15 절 대강절 (The Advent)
제 16 절 성탄절 (Christmas)과 캐롤 (Carol)
1. 크리시마스의 시작
① 로마 교회
② 에집트
③ 동방교회
④예루살렘과 아르메니아
2. 크리스마스의 전통과 관습
① 크리스마스 장작
② 촛불예배
③ 상록 담장 넝쿨
④ 크리스마스 츄리 (Christmas tree)
⑤ 싼타클로스 할아버지
⑥ 크리스마스 선물교환
⑦ 마굿간의 설치
⑧ 기 타
3. 크리스마스 캐롤 (Christmas Carol)
① 캐롤의 시작
② 캐롤의 내용
③ 캐롤링 (Carolling)
④ 크리스마스 캐롤 이외의 캐롤
⑤ 크리스마스를 지키지 않는 교회
⑥ 캐롤 복원 운동
⑦ 캐롤을 통해서 교회음악의 토착화 운동을
제 17 절 교회력과 색깔
제 4 장 찬송가와 복음가
제 1 절 시편은 읽혀지는 것이 아니라 노래 불러져야 하는것
1. 교황 Gregory 1세
2. 챈트의 특징과 정의
3. 교회선법(Church Modes)의 구성
4. 시편창 방법
5. 시편창 선율 (Psalm tones)
6. 앵글리칸 챈트 (Anglican Chant)
7. 새로운 시편창의 개발
8. 챈트를 부르는 방법
제 2 절 기독교의 찬송은 어떻게 시작 되었나?
1. 히브리인들의 음악
2. 성전에서의 예배
3. 시편의 영적 가치
4. 교회 찬송가의 네가지 형태
제 3 절 찬송가와 선교
1. 찬송가의 시작
2. 찬송가와 이단운동
3. 종교개혁과 찬송가
4. 복음 찬송가 (Gospel Song or Gospel Hymn)
제 5 장 한국 교회음악의 당면과제
제 1 절 복음주의와 음악목회
1.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2. 모든 인간은 미적 존재: 음악은 하나님의 선물
3. 복음가는 부정한 것인가?
4. 교회음악에 대한 편견을 버리자
5. 교회의 음악과 학교의 음악간의 갈등관계
6. 전통적으로 찬송가는 대중음악이었다.
(1) 시편은 성전음악이면서 세속음악
(2) 기독교 찬송의 시작은 대중음악
(3) 종교개혁 당시의 코랄과 시편가도 대중음악
(4) 복음찬송가(gospel hymns) 와 복음가 (gospel songs)
7. 교회음악은 기능음악인가? 예술음악인가?
8. 문화가 음악을 생산해 냄
9. 음악목회를 해야 한다.
10. 교인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음악으로 음악목회
제 2 절 한국 교회음악의 토착화
1. 한국 교회음악의 시작
2. 교회음악의 위험성
3. 찬송 가사의 내용
4. 찬송가의 음악적 형태
5. 토착화의 원칙
제 6 장 오직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나의 신앙고백)
부록4. 신입대원 교육자료 및
(1) 할렐루야 찬양대 지원자 안내
I. 모든 지원자는 아래의 제반 사항을 준수 할 수 있어야 한다.
II. 할렐루야 찬양대의 목표와 찬양대원의 생활 철학
III. 오디숀
VI. 할렐루야 찬양대의 최종 목표
(2) 할렐루야 찬양대원으로서의 10가지 자세
(3) 찬양대원의 책임
(4) 찬양 연습시 주의 할 점
(5) 반드시 참석해야 할 활동
(6) 주 일 예 배 를 위 한 준 비 와 자 세
지난 겨울 여행에서 얻은것
故최시원 교수의 영전에 드립니다.
설 교
조 사
고 최시원 교수 추모 사업회 임원
신 입 대 원 서 약
기 존 대 원 서 약
임 명 장
1991년도 주일 찬양예배 담당순서
담당순서 결정 원칙
1991년도 충현 찬양대 행사 계획
악보 관리 및 구입에 관한 정책
당회에 청원해야할 사항